영어 칼럼(17)
-
EBS 스타 강사 이정우 선생님의 한 권으로 끝내는 중학영문법 마스터
영문법에 대한 체계를 세우고 싶으시다구요? 중학교 영문법만으로도 영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마스터하실 수 있으며, 학원을 이동하는 번거로움 없이 스스로 유튜브와 책을 통해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이정우 선생님은 15년 경력의 현직 교사이자 EBS의 스타 강사인데, 그런 선생님이 너무도 감사하게 유튜브로 이렇게 친절하게 문법 강의를 오픈해주셨네요~. 체계적인 목차와 선명한 화질과 또박 또박 명쾌한 목소리까지!이정우 선생님의 중학영문법 마스터 채널은 '한 권으로 끝내는 중학영문법 마스터' 책을 강해하는 채널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책을 펴놓고 인터넷 강의를 들으면, 선생님이 칠판에 판서하면서 설명을 해주시니 학원에서 듣는 것과 같습니다. 복잡한 로그인 절차도 없고 그냥 유튜브 주소만 클릭하면 바로 나온다는 접근성..
2021.04.09 -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먼저 미국의 빅 테크 기업들인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구글 등 미국 내 회사의 화장실을 청소하고 있는 청소봇을 한 번 보실게요. 빈틈없이 청소할 수 있도록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하고, 스스로 엘리베이터도 타고 건물을 종횡무진 합니다. 이 청소봇의 월 대여료는 월 108만 원, 우리나라 최저임금보다 낮은 수준의 돈을 받고 수십 명의 몫을 해내고 있는 것입니다. 소득의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고, 일자리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에 시대의 변화를 꿰뚫고, 앞으로의 진로를 결정해야 돈을 버는 자리로 갈 수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현대인들의 일자리는 크게 기술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저 숙련 일자리, 전문성이 필요한 고숙련 일자리, 일반 사무직 같은 중간 숙련 일자리로 구분할..
2021.04.09 -
행복한 유년을 위한 감성 교육 -'이제는 불행대신 행복을 배워야 합니다'
코로나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그 동안의 아이들 교육 방식에 대해 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몇 개월에 그칠 줄 알았던 온라인 교육은 한 학년을 모두 온라인으로만 마치게 된 것이죠. 온라인 졸업식까지... 많은 부모님도 선생님도 모두 속상할 것입니다. 온라인 공교육 수업이라는 것이 최초였던 2020년도는 시스템적으로는 정말 엉망이었지만, 획기적인 점이 있습니다. 바로 모든 수업을 디지털화로 만들어서 올리고, 아이들이 숙제를 제출하는 것을 부모가 볼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부모는 우리 아이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따라가며 수업 내용은 어떤 것인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특출나게 잘하는 것, 잘 못 쫓아가는 것 등을 면밀히 관찰할 수 있었죠. 또, 어떤 선생님이 ..
2021.04.09 -
언제부터 영어를 시켜야 할까요?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이병민 교수님
'영어 유치원을 보내야 할까요?' '언제부터 영어를 시켜야 할까요?' '진짜 효과적인 영어 교육은 뭘까요?' 미취학 아동을 둔 엄마라면 영어유치원 생각을 한 번정도 해보셨을텐데요~ 내 아이만 뒤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유치원때부터 생깁니다. 이것은 정말 우리나라 교육산업의 과도한 불안마케팅 때문에 우리 아이만 뒤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길들여지게 된 것이죠. 저를 포함한 우리나라 엄마들은 유독 영어만큼은 거액을 들여서라도 어려서부터 가르쳐야 한다는 강박감에 사로잡혀 있어요. 영어태교부터 영어유치원, 40만원을 호가하는 초등전문 영어학원에 해외 캠프며 조기유학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어 조기 교육을 합니다. 엄마,아빠가 뼈 빠지게 번 돈이 다 교육비로 빠져나가고, 대학교 등록금만큼을 유치원때부터 써대..
2021.04.09 -
당신이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
KBS에 2011년에 방영했던 '당신이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 에 한국인은 잘못된 영어 공부에 대한 상식과 공부방법 때문에, 공부에 들이는 시간에 비해 현저히 영어를 못하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데는 두 가지 잘못된 믿음이 있습니다. 하나는 영어를 몇 주만에 배울 수 있다고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어른이 되면 언어를 배울 수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사실 영어를 배우는데 가장 효율적인 마법과 같은 연습방법은 없습니다. 단지 실제 대화는 것과 같은 방법이어야 하다는 것의 경우 배우는 사람에게 너무 어렵거나 생소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사실 굉장히 단순하게 들립니다. 하지만 그게 그리 만만하지는 않습니다.' - 로버트 드 카니져 (미 메릴랜드대 교수) - 다큐멘터리의 내용을 ..
2021.04.09